본문 바로가기

스위프트(Swift)

스위프트(Swift) - 컬렉션 타입 배열(Array) 사용 방법

반응형

스위프트 배열 사용 방법

스위프트에서는 일반적인 데이터 타입과는 조금 다른 형태로 제공하는 컬렉션 타입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컬렉션 타입의 한 종류인 배열(Arra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배열은 말 그대로 '순서대로'의 의미를 가집니다. 스위프트에서의 배열은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변수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훨씬 효율적이겠지요?

 

1. 배열 타입 사용 방법

지금부터 배열 타입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인데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살펴보고, 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프트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프로퍼티에 대해서도 조금 알아보겠습니다.

 

------------------------------------------------------------코드 시작------------------------------------------------------------

var company: Array<String> = ["Apple", "Google", "Samsung"]

// 배열 타입의 변수 선언은 Array<타입>과 같이 선언하고, 값은 []안에서 ','로 구분한다.

 

var animal: [String] = ["dog", "cat", "monkey"]

// Array의 키워드를 생략하고 [타입]으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 자체가 배열임을 타나냅니다.

 

print(company[0])

print(animal[2])

// 배열 값은 배열변수[인덱스]로 지정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company.append("Naver")

// 배열 변수 comapny에 'Never'를 추가합니다. 그러므로 company[3]은 'Naver'이 됩니다.

 

company.append(contentsOf: ["Sk", "Kakao"])

// 배열 변수 comapny에 'Sk', 'Kakao'를 추가합니다. 그러므로 company[4]은 'Sk', company[5]은 'Kakao'가 됩니다.

 

animal.insert("lion", at:2)

// 배열 변수 animal의 인덱스 2에 'lion'을 삽입합니다. 기존에 인덱스 2에 있던 'monkey'는 1 뒤로 밀려 인덱스 3에 존재하게 됩니다.

animal.insert(contentsOf: ["elephant", "tiger"], at:2)

// 배열 변수 animal의 인덱스 2에 'elephant', 'tiger'를 삽입합니다. 2는 'elephant' 3은 'tiger'가 됩니다.

 

print(company.index(of: "Apple"))

// 배열 변수 company에 'Apple'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있다면 0, 없다면 nil을 반환합니다.

 

print(animal.first)

// 배열 변수 animal에 첫번 째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print(animal.last) -> 마지막 값을 가져옵니다.

 

print(animal.count)

// 배열 변수의 몇 개의 값이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열 타입의 사용 방법 예시

------------------------------------------------------------코드 종료------------------------------------------------------------

 

이상, 배열 사용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요. 사실 활용 법은 굉장히 무궁무진 합니다. 유용한 사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따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