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위프트(Swift)

스위프트(Swift) - 변수와 상수

반응형

스위프트 변수와 상수

스위프트(Swift)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변수(variable)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변수라는 것은 변하는 값을 말합니다. 즉 고정되지 않고 언제든지 그 값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변수입니다.

 

그림에서 보시는 개발 환경은 특별히 무언가를 설치할 필요 없이, http://online.swiftplayground.run/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스위프트와 관련된 여러 가지 테스트를 쉽게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1. 변수의 선언

변수를 선언 한다는 것은 이 변수를 사용할 것이다. 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바로 컴파일러, 쉽게는 컴퓨터에게 말이죠. 그 형식은 [var 변수명: 데이터 타입] 와 같습니다. 그 종류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예 : [var test1: String = "good"], [var test2: Int = 30], [var test3: Double = 12.3]

스위프트 변수의 선언

2. 변수의 출력

위에서 선언한 변수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print() 라는 함수를 사용합니다. 함수의 이름처럼 출력하고 싶은 변수를 괄호 안에 넣어주면 간단합니다.

   - 예 : [print(test1)], [print(test2)], [print(test3)]

스위프트 변수의 출력

3. 변수의 타입 추론

그런데 말이죠, 만약에 변수의 데이터 타입에 대한 지정을 잊어버리고 선언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가령 다음과 같이 말이죠. var test4 = 1.4 처럼 지정하면 에러가 발생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스위프트(Swift)라는 언어는 안전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영리한 컴파일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추론하여 데이터 타입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계속 지정할 필요가 없을까요? 아닙니다.

스위프트 변수의 타입 출력

스위프트(Swift)의 고수가 아니라면, 타입은 반드시 지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상대방과의 의사소통할 때나, 나중에 오류가 생겼을 경우 찾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지요. 가급적 초보자일 때는 반드시 지정해주도록 해요.

 

추론해서 지정된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 예 : print("\(type(of: test4))")

 

4. 문장과 변수를 결합하여 출력

변수들을 많이 선언해놓았으나, 문장과 결합하여 사용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변수만 툭툭 던져서 출력할 수는 없죠. 보통 print("출력")와 같이 더블쿼터(")를 사용하면 그 안의 문장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문장과 변수를 결합하여 출력하기 위해서는 더블쿼터(")로 묶인 상태에서 \()를 사용합니다.

   - 예 : print("스위프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입에는 문자열형:\(test1) 등이 있습니다.")

스위프트 문장 내 변수를 삽입하여 출력

5. 변수 값 변경

변수의 값을 변경할 때에는 반드시 처음에 선언했을 당시의 데이터 타입의 값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형으로 지정했다면 추후 값을 변경할 때에도 String형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경해야하는 것이지요.

   - 예 : test1이 "good"으로 선언되어 있었다면 test1 = "not bad"는 가능하지만, test1 = 10은 에러가 나겠죠.

스위프트 변수 사용법

6. 상수(literal)

상수가 변수와 다른 것은 선언하는 법과, 추후에 변경되지 않을 값을 지정한다는 것인데요. 즉 절대 변하지 않을 값을 정해주는 것입니다. 선언 법은 [let 상수명: 데이터 타입 = 값]

   - 예 : let name: String = "jamy" -> 일반적으로 이름은 절대 변하지 않는 값이기 때문에 상수로 지정합니다.

반응형